099년 7월 15일, 예루살렘이 함락되었다. 그날 하늘은 말이 없었고, 땅에는 피가 흘렀다. 신앙은 기쁨에 울었고, 무수한 생명이 그 자리에서 꺾였다. 역사상 가장 상징적인 도시를 향한, 가장 극적인 전쟁. 이 책은 그 장면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을 다시 들여다보는 기록이다.
제1차 십자군이란 단어 앞에서 우리는 두 개의 인상을 동시에 떠올리게 된다. 하나는 성지를 되찾기 위해 바다를 건너고 사막을 건넌 이들의 신앙과 헌신, 그리고 또 하나는 무고한 생명이 찢기고 타오른 피의 기억이다. 어떤 이는 이것을 영웅의 역사라 부르고, 또 어떤 이는 문명의 충돌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 책은 그러한 평가에 앞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차분히 살펴보고자 한다.
누가, 왜, 어떻게 이 전쟁에 참여했는가? 그들은 성지를 어떻게 이해했고, 무엇을 기대했으며, 결국 무엇을 보고 돌아갔는가? 그 과정에서 종교는 어떤 역할을 했고, 폭력은 어떻게 신앙과 손을 맞잡게 되었는가? 이 책은 판단보다 관찰을, 해석보다 묘사를 우선한다. 수천 킬로미터를 걷고 싸우고 죽어간 사람들의 시선과 감각을 따라가며, 그들이 마주한 사건의 단면을 최대한 생생하게 재현하려고 한다.
동시에, 그 여정의 끝에서 남겨진 풍경을 바라보며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가 이 이야기를 어떻게 기억하고 받아들여야 하는가에 대해 조용히, 그러나 정직하게 묻고자 한다. 십자군 전쟁은 과거의 사건이지만, 그 유산은 지금도 다양한 방식으로 남아 있다. 신의 이름으로 휘두른 칼은, 때론 정당화되고, 때론 악용되며,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다. 이 책은 제1차 십자군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기록하면서, 그 이면에 자리한 인간의 열망과 공포, 신념과 광기, 믿음과 침묵의 결을 따라가 보고자 한다.
중세사 연구학회는 중세의 역사와 정치, 경제, 생활상을 연구하는 모임입니다. 중세의 역사적 사건을 연구하며 축적된 지식을 정리하여 쉬운 글로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